[공지] 학교방송 담당 교사를 위한 FAQ 2018.03.10.
카테고리
[공지] 학교방송 담당 교사를 위한 FAQ 2018.03.10.
안녕하세요. 이번에 방탈출닷컴 크루들과 함께 독도프로그램을 제작했는데요. 사회과 독도 수업끝나시거나, 학기말에 시간되시면 해보시기 좋을 것 같아 소개드립니다. 내용이 조금 어려운 중등용 프로그램과, 웹툰 기반의 프로그램도 방탈출닷컴에는 함께 소개되어 있어요. 활용해보셔요 ㅎ [ ZEP싸게 독도탐험 ] 이 프로그램은 독도를 메타버스(ZEP)로 체험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메타버스 안의 방탈출 문제를 풀면서 독도의 구석구석을 살펴보세요. 소요시간 : 2차시 난이도 : ★★★☆☆ 추천 : 초등 고학년 이상 접속 : 방탈출.com
평화와 통일을 위한 교육용 방탈출게임 전체 접속 주소 : 우리의소원.COM 또는 https://sites.google.com/view/ourwishis ) 1차시용 프로그램 3개 중에서 선택해서 사용가능. 1. 우리의소원 1) 시놉시스 : 평화의 나무 심기 이벤트에 응모했다가 겪게되는 재미나고 의미있는 일을 겪게 된다. 그동안 평화를 위하 다양한 노력들이 다양한 자료를 통해 알게 된다. 2) 주요 내용 : 남북의 언어차이, 헌법에 기록된 통일을 위한 노력, 우리의소원은통일 노래, 이산가족, 남북단일대표팀 등. 3) 게
5.18 수업하고 도전활동에도 참여해 보세요! 안녕하세요. 전교조 광주지부, 광주교사노조, 광주실천교육교사모임이 함께 하는 프로젝트 <5.18 문화가 되다! - 5.18 챌린지>를 소개합니다. 이번 5.18 수업은 어떻게 할지 계획하셨나요? 혹시 아직 준비하지 못하셨다면 <5.18 문화가 되다!>에 함께 해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5.18 문화가 되다!> 이번에 준비한 챌린지는 아래 세 가지 활동 중 한 가지를 진행한 후 참여 방법에 따라 응모를 하시면 됩니다. 활동① 5.18 관련 동화 또는 소설을 읽고 떠오르는 생각이나 감정을
지금 우리 지구는?! 2022년 지구의 날을 맞아 준비한 방탈출게임 모음입니다. #기후위기 #생태위기 #멸종위기동물 #분리배출 #탄소발자국 #해양쓰레기 궁금한 이야기 B 누군가의 실종에 대한 종이 한장. 무슨 일이 일어난거지? 난이도 : ★★☆☆☆ 접속주소 : https://sites.google.com/view/earthday422 제작 : 방탈출닷컴, 지원 : 실천교육교사모임 엔드게임 : 마지막 기회 대한민국 상공에 나타난 외계인. 그리고 그의 메세지. 우리에게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2022년 어린이날은 100주년입니다. ^ ^ 조금이라도 아이들에게 즐거움과 의미를 주고 싶어서 동료선생님들과 만들기 시작한게 여기까지 왔습니다. 어린이날의 의미와 소파 방정환 선생님의 일화를 스스로 찾아갈 수 있게 만든 프로그램이에요. 메인 줄거리가 되는 '만년 샤쓰'란 동화는 방정환 선생님이 쓰신 이야기이기도 하죠. 접속주소는~ 요거에요. 방탈출.com https://sites.google.com/view/mrbang
5·18민주화운동이 담고있는 '가치 그림책' 우리 손으로 함께 만들어요! 1. 공동체, 용기, 진실 등 5·18민주화운동과 관련된 가치를 정해요. 2. 가치를 설명하는 장면을 상상하고 그림을 그리고 글을 입혀요. 3. 만들어진 그림책을 PDF로 보내주세요. 학급별로 그림책 제작. (규격 및 틀은 소개 링크 안에 있습니다.) 4. 다른반 친구들이 만든 그림책을 온라인에서 보고 서로의 생각을 나눠요. 문의 : 광주실천교사 오픈채팅방 https://open.kakao.com/o/sF7Nafae 또는 teachers.in.g
"이번에 저희 아이가 00학교에 올라가요. 교사라서 어디다 물어보기도 그렇고, 누가 좀 알려주시면 안되나요?" 선생님도 모르는 학교이야기가 있다구요? 그렇죠. 초등학교 선생님과 중등학교 선생님은 서로의 학교를 잘 모르잖아요. 언제 한번 제대로 들어보고 싶었는데 어디 이런 소개해주는 자리가 없나요? 그래서 실천교사가 준비해보았습니다. 유치원, 초등, 중등, 고등학교까지. 요즘 학교가 어떤 모습인지 알려드릴게요. 자녀가 이번에 새로운 학교급으로 입학하는 선생님들께 도움이 되는 자리가 될 거에요. 거기에 특수통합학급을 담당하시게 된 초등
안녕하세요. 실천교육교사모임에서 개설한 공개연수가 있어서 소개드리고자 합니다. 이번에 77개의 연수가 이번 금요일에 오픈하는데요(실천나눔축제라는 이름으로 실천교육교사모임 홈페이지에서 보실 수 있어요. ) 새로운 학년이 정해지면 언제나 두렵고 설레는 마음이 가득합니다. 오랜만에 다시 학년을 맡았거나 처음이라면 더욱 그렇지요. 그래서 실천교육교사모임에서 준비해보았습니다. 학년교육과정 훑.어.보.기. 교과서를 이러저리 펼쳐보며 올해를 계획해보는 시간을 함께 가져보는 거에요. 혼자서는 조금 막막하잖아요. 작년에 열심히 학생들을 지도했던
교육용 방탈출게임을 제작해 온 'http://방탈출.com '의 2022 크루를 모집합니다. 방탈출닷컴은 교육용으로 제작된 방탈출게임을 소개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방탈출닷컴에는 크루들이 직접 제작한 것 이외에도 다른 곳에서 제작한 프로그램도 제작자를 밝혀 소개하고 있습니다. 현직에 계신 선생님들이나, 그 밖에 이러한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중에서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께서는 신청해주세요. 1. 크루의 성격 : 넓은 인력풀의 의미입니다. 함께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싶은 사람 크루 안에서 모집할 수도 있구요. 서로 제작한 프로
안녕하세요. 크리스마스를 맞아, 방탈출닷컴에서 교육용 크리스마스 방탈출게임 4종을 소개합니다. 해보시고 다른 사람에게도 소개부탁드려요. 1. about chirtmas 해리포터 ver. 크리스마스에 대한 퀴즈도 풀면 볼드모트의 영혼조각을 없앨수 있지! 과연 호그와트의 평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인가? (구글폼 방식) 2. 루돌프의 고백 세상에서 제일 유명한 빨간코. 루돌프가 어느 날 기자회견을 열고 고백을 하는데.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걸까? 3. 산타할아버지의 편지 코로나19 때문에 직접 배송이 어려워진 산타할아버지가 보내온 편지.
인천시교육청 마을교육지원단에서 [ 인동시 . COM ] 을 제작했습니다. 국제도시 인천의 명성에 걸맞게, 어마어마한 프로젝트였어요. 이름인 인동시는 인천에서 동아시아 시민되기의 약자입니다. 다양한 이웃들이 조화를 이루어 살고 있는 인천의 마을 자원들이 방탈출게임을 만났습니다. 정말 많은 분들이 많은 수고를 해주신 것으로 알아요. 저도 여기에 자문으로 조금 도움을 드렸는데요. 무려 인권평화분야 - 4개, 생태 3개의 게임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저는 여기 분야 7개에 대해서 모두 컨설팅을 해드렸는데요, 해박한 지식이며 신박한 아이디어며
방탈출 . com 에서 스쿨 방탈출 제작 최강자를 뽑습니다. 크리스마스를 주제로, 총상금 30만원, 방탈출닷컴 크루 주관. 1. 제작 주제 : 크리스마스. 학생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함. 2. 기한 : 12/21일 18시까지 출품, 12/22부터 12/31일까지 운영. 3. 제작방식 : 구글사이트도구 활용 또는 구글 폼 등 다양한 방식 4. 대상 : 교사 또는 학생 5. 요건 : 1차시 분량(문제 5개 내외), 출품 시 추천 나이 및 난이도 표시, 구글애널리틱스 접속자 및 후기 구글폼 연결. 대회 기간 중, 사이트, 통
올 한해도 정말 수고 많으셨습니다. 선생님들을 향한 응원과 격려의 마음을 모아 콘서트를 준비했습니다. 이름하여 실.콘! 바로 <실천교사 힐링 콘서트>입니다. 누구나 오세요! 함께 오세요! 티보이스 ISOB 수요일밴드가 함께합니다. 마음 편히 오시도록 문을 활짝 열었습니다. 일시 : 2021년 12월 11일(토) 오후 4-6시 장소 : 수완문화체육센터 1층 공연장 주관 : 광주실천교사 신청 링크 - https://forms.gle/PEK6imZxuMQEqXft5 * 마음에 들면 주변분들에
[학생독립운동에 대해 추리게임으로 알아보세요] 이번에 소개할 것은 '십일삼닷컴'입니다. 이제 완전 새롭게 리뉴얼 되었습니다. 삽화를 새로 셋팅하고, 저학년용, 고학년용, 오프라인 현장용(극락강역 - 광주송정역 - 광주일고 학생독립운동역사관)을 세가지 버젼입니다. 프로그램은 [ 십일삼.com ]에서 사용하실 수 있어요. https://sites.google.com/view/20211103 [극락강 무우장수는?] 극락강역의 특산물 쥐꼬리 무를 키우던 사람인데요. 1929년 학생독립운동을 옆에서 보면서 조금씩 변해갑니다. 무우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