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열정NO.1 교사들의 유튜브 활용나눔 카페 <티튜버>입니다. 오늘은 우리 회원님이신 조안나쌤,조재범쌤,배준호쌤께서 [교육을 위한 젭ZEP 탐구생활] 이란 귀한 책을 출간하셨다는 소식입니다^^ 우선 책소개에 앞서 젭ZEP에 대한 설명을 드릴게요~ 수많은 메타버스 플랫폼들이 만들어졌다 사라지고 다시 생겨나는~ 메타버스 춘추전국시대 교육을 위한 전용 메타버스는 아직 존재하지않지만... 수많은 메타버스 플랫폼 중 옥석을 가려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찾고자 세분의 선생님께서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여 집필하신 [교육을 위한
안녕하세요^^ 열정NO.1 교사크리에이터들의 정보나눔 카페 <티튜버>입니다. 5월은 계절의 여왕인 동시에 가족과 관련된 행사가 유독 많은 '가정의 달'이죠~^^;;; 그렇다면~5월 '가정의 달'의 유래는? 너무 가까이에 있어서 가족의 소중함을 잠시 잊고 지냈다면.. 5월 한 달 동안만이라도 가정의 소중함과 가족의 의미를 되새겨보고, 사랑한다고 표현 해보면 어떨까요? 그런 의미에서 티튜버가 준비한 5월 가정의 달 이벤트!!! 빠밤!!! 가정의 달을 맞아~N행시 이벤트를 준비했어요..^^ 어린이, 어버이, 스승, 부부,가정 5가지
안녕하세요^^ 열정NO.1 교사크리에이터들의 정보나눔 카페 <티튜버>입니다. 선생님들 안녕하세요! 오늘의도덕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김인의입니다! 티처몰과 교크협이 함께 기획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통일교육 보드게임 통통투어가 출시되었습니다 윷놀이로 한반도 전체를 여행하면서 남북한과 통일에 관련된 내용을 익히는 보드게임이에요 저는 통일교육을 하면서 '통일을 왜 해야할까?' 질문에 앞서 먼저 남한과 북한에 대해, 그리고 남북한의 협력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여행 컨셉으로 조금 쉽게 접근해보려고 했습니다 중간 중
여러분은 과정과 결과 중 무엇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나요? ‘결과 없는 과정은 무의미하고, 과정 없는 결과는 아름답지 않다.’라는 말을 남긴 축구선수 요한 크루이프의 말처럼 과정과 결과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나의 상황과 가치관에 따라 변하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과정과 결과 중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든 변하지 않는 사실이 있습니다. 그것은 결과에 따라 과거에 했던 과정들을 긍정적으로 생각하거나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의 심리입니다. 사람들은 어떠한 일의 결과를 알고 난 뒤에 ‘그럴 줄 알았지’, ‘처음
학부모 공개수업이 다가오니 아이들이 먼저 발표 열심히 하는 것처럼 부모님을 속이자고 제안(?)해 오더군요. . 발표가 뭐라고 부모님을 속이면서까지 열심히 하는 것처럼 보여줘야 하는지.. 발표하지 않아서 혼나는 아이들의 마음도 이해되고.. 발표하지 않는 아이의 모습에 속상해하는 부모님도 그렇고.. . 발표만이 수업에 참여하는 것이 아닐텐데 라는 생각이 들어서 영상을 만들어 봤습니다. . 여러 선생님께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열정NO.1 교사크리에이터들의 정보나눔 카페 <티튜버>입니다. 안녕하세요 날아라후니쌤입니다. 1월부터 ' 1.1.1 (1달 1권 1년읽기) 프로젝트 '를 안내드린바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를 참조해주시면 되구요. 1월에 시작한 독서모임이 4월에도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5월에는 '챗GPT 교육혁명' 을 나누었습니다. 똑똑한 비서를 두기 위한 방법을 알수 있는 책이었습니다. 1월 김경일의 지혜로운 인간생활 2월 2023 대한민국 교육트렌드 3월 내가 알고 있는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4월 부의 추월차선 5월 챗GPT 교육
나 표현하기 두 번째 시간은 아르침볼도의 초상화를 따라해봤어요. 지난번에 아이들의 그림으로 본인 얼굴을 표현했다면 이번에는 약간의 추상적인 개념을 알려주고싶어 따라하기 작가로 아르침볼도를 선택했습니다. 어플로 셀카 찍어서 프린트하고 먹지에 따라그려서 보테로 따라하기도 생각했었는데 그 과정에 엄청 번거로울 것 같아서 쉽게가자!! 하고 이렇게 활동했습니다. ㅎㅎ ** 아르침볼도 소개영상 : https://youtu.be/4FOhTk2Sgn4 ** 참고영상 : https://youtu.be/IXX_F2IjKBE 정말 신기했던건 기가막히게
학습 주제도입 자료를 만들 때 챗GPT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프롬프트는 다음과 같다. 1. "[0학년]에게 [주제 00]를(을) 재미있게 소개할 수 있는 방법은?" 3학년 과학 동물의 한 살이 단원의 동기 유발 활동을 챗GPT에 물었다. 프롬프트 지니를 활용하여 질문을 영어로 번역하여 얻은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비교를 위해 프롬프트 지니를 활용하지 않고 한글로 검색한 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2. "[학습주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줘." 5학년 과학 용액의 진하기 비교를 가르치기 전에 학습 내용에 대한 개
학급당 인원이 줄어들면서 생긴 변화 그리고 제안 밀주초에 근무한지 3년째다. 2021년 첫해 6학년 20명 2022년 둘째해 6학년 13명 2023년 셋째해 3학년 13명 26년 교사하면서 초임 때 당진 조금초 6학급때와 2003년 마산 감천초 6학년 11명 때를 제외하고 20명 이하 학급담임하면서 느낌을 정리해본다. 장점은 분명하다. 학급 인원이 줄기 때문에 수업이나 생활면에서 한명 한명에게 대하는 시간이 확실히 길다. 교실에서 발표를 시켜도 적어도 하루에 한번은 기회를 줄 수 있다. 20명일 때보다 13명일 때가 확실히 좋다.
알파벳 퍼즐은 어지럽게 흩어져 있는 알파벳을 순서대로 맞춰 단어를 만드는 게임이다.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알파벳을 나눠주고 선생님이 내는 단어를 재빨리 맞추게 하면 된다. 집에서 자녀들과 함께 해도 좋을 듯 하다. 영어 수업시간에 사용하는 걸 보면서, 매번 나눠주기 쉽지 않으니, 태블릿을 사용해서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태블릿으로 만들어 보았다. 태블릿으로 만들었을 때의 장점은 같은 알파벳을 계속 사용해도 된다는 점이다. 특정 알파벳이 부족하면 자동으로 계속 생겨나도록 만들었다. 즉 동일 알파벳이 많이 쓰이는 특정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