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학기초 추천 프로그램 2016.05.30.
[공지] (2019)수업시간이나 학기말 수업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음(2019년 7월 수정) 2016.05.30.
카테고리
[공지] 학기초 추천 프로그램 2016.05.30.
[공지] (2019)수업시간이나 학기말 수업 자투리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음(2019년 7월 수정) 2016.05.30.
교사를 위한 인원점검 웹 명렬표입니다. 종이 명렬표 없이 간단하게 학생들 체크를 하거나, 원하는 학생에게 전화를 걸 수 있는 아주 간단한 프로그램입니다. 학기초에 한번만 설치해 두면 1년 동안 편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 9일에 업데이트를 했습니다. 불편하지만 기존 사용자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처음부터 다시 만들어야 합니다. 이제 반별로 체크한 것이 구분이 됩니다.> 예를 들면 체험학습을 갔을 때 학생들이 모두 왔는지 확인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온 학생들을 눌러서 체크하면 됩니다. 화장실 간 학생은 다
힘의 합력에 대해 배우고 나서 즐겨하는 활동이다. 준비물도 간단해서, 마음만 먹으면 바로 진행할 수 있다. 과학 수업 시간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반교과 시간에도 모둠 활동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 학기 말 모둠 활동으로 기록이나 경쟁게임으로도 좋다. ** 참고영상 : https://tv.kakao.com/v/434805228 < 준비물 > 고물줄, 50cm 끈 4개, 종이컵 < 만드는 방법 > 너무 쉬워서 만드는 방법은 설명이 필요없다. 1개의 고무줄에 끈 4개를 연결하면 된다. 여유가 있다면 고무줄에 끈을 직접 연결하지 말고, 클
총알의 속력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운동량 보존법칙과 에너지 보존법칙을 이용하면 총알의 속력을 측정할 수 있다. 실제 초기에 만들어진 총의 경우 매달린 나무토막에 쏴서 총알 속력을 측정 했다고 한다. 학교에서는 BB탄 권총과 고무찰흙을 이용하여 BB탄 총알 속력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는 경우가 많다. 필자도 따라 해봤는데 문제가 있다. BB탄 총은 생각보다 위험하다. 보안경을 쓰고 주의를 준다 해도 위력이 강해 학생들을 대상으로 여러반에서 반복실험을 하다 보면 사고가 날 확률이 높아진다. 그래서 좀 더 안전한 실험으로 개선해 보
병 뒤집기 (Bottle Flipping)는 일반적으로 물이 채워진 플라스틱병을 공중으로 던져서 한 바퀴 회전시킨 후 바닥에 똑바로 세우는 놀이다. 빈 병이나 물을 가득 채운 병으로 하면 잘 되지 않는다. 또 물병을 제자리에서 떨어뜨려도 성공하기 쉽지 않다. 병을 회전시키는 이유는 뭘까? 거기에는 어떤 과학적 원리가 들어가 있을까? 잘 구성하면 탐구 활동 수업도 가능하다. 우선 초고속으로 촬영한 영상을 보여주고, 관찰한 사실들을 최대한 많이 기록하게 해 보자. 병이 회전 속도, 병 속에 들어있는 물의 움직임 등등.. https://
병 뒤집기 (Bottle Flipping)는 일반적으로 물이 채워진 플라스틱병을 공중으로 던져서 한 바퀴 회전시킨 후 바닥에 똑바로 세우는 놀이다. 학급에서 게임하다 보니, 학교 축제때 부스로 운영하거나 게임으로 활용해도 좋을 듯 하다. 수업시간에 페트병만 준비하면 학생들과 직접 해 보면서 게임을 할 수 있다. 나름 과학적인 원리도 있어서 과학 시간에는 잘 세우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 수업을 진행해도 좋다. 물은 1/3 정도 미리 넣어 주었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물의 양도 직접 찾아보게 하면 좋다. 물병을 세우는 방법은 간단하
1. 인터넷을 통해 정보검색을 하던 시절이 있었다. 인터넷 초기에 독사에 물린 아버지를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어떤 독사인지를 확인하고 의사에게 알려, 해독약을 투여받고 살릴 수 있었다는 기사가 나오던 시절이었다. 전 세계 존재하는 정보를 검색을 통해서 직접 가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었다. 유명한 석학에게 이메일을 보내 직접 질문하고 답변을 받을 수 있는 말도 안되는 세상이 시작된 것이다. 2. 스마트폰(손에 들고 다니는 컴퓨터)이 등장했다. 그 이후 인터넷이 기약없이 발전 되어 스마트폰이 나오면서 예전 공상과학
탄산음료를 오래 보관하는 방법 중에 페트병을 찌그러뜨려 놓으면 효과가 있다고 한다. 정말 그럴까? TV방송에서는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탄산수병을 찌그러뜨리고 효과가 있는지 실험 해 보았다. (이 간단한 실험을 하는데 일주일 정도 걸린 듯 하다.) 탄산음료를 오래 보관한다는 것은 이산화탄소가 많이 녹아 있는 채로 보관하는 것이다. 공장에서 만들어져 나온 탄산음료는 내부기압이 약 3기압 정도로 유지되고 있다. 뚜껑을 여는 순간 탄산음료 내부 기압은 대기압과 같은 1기압이 된다. 먹고 남은 탄산음료 뚜껑을 기체가 빠져나오지 못
힘을 받은 물체는 모양이 변하거나 운동상태(속력이나 운동방향)가 변합니다. 움직이는 우주선에 가해지는 알짜힘이 0이면 등속직선운동을 하게 됩니다. 즉 외부에서 힘을 받지 않으면 운동상태가 변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관성이라 합니다. 학생들에게 수업하다 보면 이 관계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운동하는 물체는 운동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는 오개념을 가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힘과 속력변화를 체험할 수 있는 게임을 만들었습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재미있게 게임처럼 놀면서 관성과 힘을 운동상태와의 관계를 이해하면 됩니
상대방이 생각한 숫자를 맞추는 게임입니다. 꼭 컴퓨터가 아니더라도 수업시간에 선생님이 생각한 숫자를 맞추게 하거나, 짝꿍이나 모둠별로 게임을 하게 해도 좋습니다. 아래 링크로 접속해서 실행하면 컴퓨터가 생각한 숫자를 맞출 수 있습니다. <직접 선생님이 원하는 숫자를 입력해서 보내주고 싶으면 본문 맨 아래 숫자야구게임 만들기 프로그램 참고> 태블릿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면, 학생들에게 링크 주소를 주고 참여하게 해도 됩니다. 약간의 논리적 사고가 필요합니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numb
방탈출 게임에서 마지막 탈출을 위해 그동안 모은 단서를 입력해서 탈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기존에 만들었던 방탈출용 금고 프로그램은 비밀번호와 암호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금고 비밀번호와 내용(암호 포함)을 직접 만들 수 있는 방탈출 온라인 금고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제는 선생님들이 원하는 숫자로 비민번호를 만들고 그 비밀번호를 눌렀을 때 나오는 내용을 직접 만들 수 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만들면 된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secretvault/Secre
예전 플레이 스테이션 2의 아이토이 게임을 보고 만들었던 게임이다. 웹캠만 있으면 학생들이 몸을 움직여서 공을 막는 게임을 할 수 있다. 어느 정도 거리를 유지시키면 실제 게임을 하는 것처럼 뛰어 다녀야 하기 때문에 운동효과도 있다. (거리를 멀리 하면 운동량도 많아지고, 게임도 어려워 진다.) 혼자서도 할 수 있지만 거리만 충분히 멀게 하면 모둠별 게임도 가능하다. 단 주의할 점은 날아오는 축구공을 손으로 막고 있다고 해서 막히는게 아니다. 축구공이 골대에 도달하는 순간 화면에 움직임이 있어야 한다. 즉 공을 쳐낸다는 기분으로 막
움직이는 글자들을 조합해서 의미 있는 단어를 만드는 게임입니다. 예전에 교사가 문제를 만들어 수업 시간에 학생들에게 제시하는 형태로 많이 사용했었습니다. 태블릿 PC가 보급되면서 교사가 진행하지 않아도, 학생들이 스스로 게임 하듯이 문제를 풀 수 있도록 단어 조합 온라인 퍼즐을 만들었습니다. 프로그램 설치 없이 교사가 보내 준 링크 주소로 접속해서 문제를 해결하면 됩니다. <학생 입장에서 참여해 보기> 일단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학생처럼 문제를 풀어봅시다. https://t.ly/g6vj 학생 입장에서 정답이라고 생각되는 단어를
예전에 만든 도둑잡기 2인용 게임을 한 모둠이 함께 할 수 있도록 4인용 게임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태블릿 PC 1대를 놓고 4명이서 함께 모여서 보드게임 처럼 함께 해도 좋을 듯 합니다. 아래 링크에 접속해서 실행하면 됩니다. https://sciencej1.cafe24.com/html5/hideandseek/hideandseek.html < 게임 방법 > 1. 몇 명이 할건지 결정합니다. 2. 가위바위보로 캐릭터를 고르고 술래도 정합니다. (또는 2명씩 편을 만들어 진행해도 좋습니다.) 3. 한번에 한칸씩 선을 따라 움직일
인형 관절 테스트를 하다가 집중력을 키울 수 있는 게임을 만들어 버렸습니다.. 잘 안되면 스마트폰에서도 크롬에서 실행. 일단 아래 링크로 접속해서 게임에 참여하면 됩니다. https://sciencej.cafe24.com/html5/stickman/stickman.html 왼쪽에 보여지는 문제 화면을 보고 오른쪽에 있는 스틱맨의 관절을 조절해서 똑같게 만드는 게임입니다. 10문제가 출제되고, 10문제를 다 맞추면 얼마나 정확하게 맞췄는지에 따라 점수가 결정됩니다. 동작을 맞추고 확인버튼을 눌렀을 때, 95% 이상 맞춰야지 다음 문제
함께 하는 과학 2022년 가을호에 오류중학교 한양재 선생님이 올려주신 숨은 그림찾기를 참고해서 예전에 만든 OX숨은 그림 찾기 만들기 프로그램을 이용해 변형시켜 보았습니다. ※ 학습지는 첨부파일 참고 쓰레기 분리수거와 관련된 내용이라 모든교과에서 학년말이나 자투리 시간에 환경교육에 활용하면 좋을 듯 합니다. 학생들과 함께 생각해 볼만한 내용이라 좋은데, 기존에 숨은 그림찾기가 정답 번호가 너무 적고 숫자가 연속으로 적혀 있어서, 그냥 살짝 들고 보면 어렴풋이 정답 그림이 보입니다. (예를 들면 정답의 1의 자리 숫자가 많고, 오답